•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DLog

나노미시에서 거시로의 탐색

sotheb sotheb

1

0

온라인 정보의 접근 방식은 지난 몇 십 년간 급격히 변화해 왔다. 과거에는 거시적인 정보에서 출발해 필요한 세부 정보를 찾아가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난 10년 이후부터는 나노미시 정보, 즉 극도로 세분화된 정보에서 출발해 더 큰 맥락을 이해해야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술 발전과 사용자 행동 패턴의 변화, 그리고 디지털 생태계의 진화가 만든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변화는 IT 산업, 데이터 과학, 그리고 사용자 경험(UX)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초창기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 탐색은 대체로 거시적인 정보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 알고 싶다면 백과사전이나 포털 사이트의 메인 카테고리를 먼저 탐색한 후, 논문 정보로 흘러 드는 점점 더 구체적인 정보를 찾아가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웹사이트와 포털은 체계적인 카테고리와 디렉토리를 통해 정보를 제공했으며, 사용자는 정보를 얻기 위해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여러 페이지를 탐색해야 했다. 그러나 인터넷 속도와 검색 엔진 기술의 한계로 인해 정보의 접근성과 검색 효율성은 낮았다.

 

이제 디지털 환경에서는 정보가 지나치게 세분화되고 개인화되었다. 소셜 미디어, 뉴스 앱, 검색 엔진, 그리고 추천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먼저 제공하려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처음부터 구체적인, 즉 "나노미시" 수준의 정보를 접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과거와 큰 차이를 보인다.

 

변화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덕분에 가능해졌다. 빅데이터와 AI 기반의 추천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관심사, 위치, 검색 기록 등을 분석해 적합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폰과 모바일 인터넷의 확산은 정보 탐색의 패턴을 단순하고 즉각적인 결과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꾸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해시태그나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화된 정보를 추천하며, 나노미시 정보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으며, 개인화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반대로 정보의 편향성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세분화된 정보의 홍수로 인해 정보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아졌다. 특히, 사용자가 접하는 정보가 지나치게 개인화되면서 더 큰 맥락을 놓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를 찾는 방식뿐 아니라 정보를 소비하는 방식도 변하고 있다. 사용자는 긴 텍스트나 복잡한 분석보다는 짧고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컨텐츠를 선호한다. 이런 변화는 유튜브, 틱톡과 같은 플랫폼의 급성장으로 나타난다. 또한,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은 단순 키워드 기반 검색에서 벗어나 의미 기반 검색(semantic search)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대화형 AI 기술은 사용자 질문에 대해 직접적으로 답변을 제공하면서 나노미시 정보를 더 큰 맥락에서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정보를 더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디지털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정보의 생산과 소비는 더 이상 대형 매체나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니다. 일반 사용자들도 블로그, 유튜브, 소셜 미디어를 통해 나노미시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보의 질이 다양해졌지만, 신뢰성과 진위성 문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나노미시 정보가 중심이 되는 시대에는 새로운 과제도 등장하고 있다. 세분화된 정보의 출처가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기술적, 윤리적 기준이 필요하며, 나노미시 정보에서 출발해 거시적인 맥락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중요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와 같은 기술적 접근법이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정보가 사용자의 선호를 강화시키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을 초래할 위험도 존재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는 기술적 솔루션이 요구되며, 사용자 역시 접근법의 다양화로 정보의 미러볼 현상을 주의해야 한다. 

(정보의 미러볼 : 미러볼은 빛을 수많은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반사시켜 특정한 방향으로 주의를 끌어당긴다.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정보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향으로만 빛을 비추며, 다른 관점을 접할 기회를 제한한다. 이는 사용자가 다채로운 시각을 얻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무한의 조각 안에서만 움직이게 만든다는 점을 감각적으로 표현한다.)

 

 

 

 

 

 

 

 

신고공유스크랩
0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