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음된 자기 목소리는 왜 어색하게 느껴질까? _ WHY YOUR RECORDED VOICE FEELS STRANGE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를 들으면 "이게 내 목소리가 아닌 것 같다"며 어색해합니다. 하지만 같은 방식으로 녹음된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들려주면 "실제 목소리와 거의 비슷하다"는 반응을 보입니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가 소리를 듣는 방식은 두 가지 경로로 나뉩니다. 공기 전도(air conduction)와 골전도(bone conduction). 귀는 이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소리를 전달받습니다. 우리가 자신의 목소리를 인식할 때는 공기 전도와 골전도가 혼합된 소리를 듣게 됩니다.
그런데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때는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공기 전도 방식으로만 전달됩니다. 골전도로 인한 진동이 빠져 있기 때문에 평소와 달라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반면, 다른 사람의 목소리는 처음부터 공기 전도 방식으로만 듣고, 녹음된 다른 사람의 목소리 또한 공기 전도 방식으로만 들리기 때문에 전달 방식이 일치해 어색함이 덜합니다.
우리가 듣는 모든 외부 소리, 다른 사람의 목소리, 음악, 소음 등은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 전도 형태로 귀에 전달 됩니다.
이 소리의 진동은 외이도라는 통로를 지나 고막을 울리고, 고막의 진동은 청각 소골(망치뼈, 모루뼈, 등뼈)이라는 세 개의 작은 뼈를 거쳐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달팽이관은 이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꿔 청신경을 통해 뇌로 보냅니다. 이것이 공기 전도 소리의 작동 원리입니다.
반면, 골전도 소리는 진동이 측두골(두개골의 일부)을 통해 달팽이관으로 직접 전달됩니다. 예를 들어, 귀를 막아도 자신의 목소리가 들리는 이유는 주로 골전도 덕분입니다.
귀를 손으로 막았을때 들리는 소리 역시 골전도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평소와 달라 어색하게 느껴지게 됩니다.
결론: 녹음된 자신의 목소리가 어색하게 들리는 이유는 소리 전달 방식의 차이 때문이며, 당신에게만 그렇게 느껴지는 현상입니다. 그러니 녹음을 하거나 영상을 찍을 때 자신의 목소리가 어색하다고 너무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