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ort 폴더는 작가들과 협업한 기술 서비스 일부를 기록합니다. 이 기록은 오픈 정보의 일부 입니다.

  •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공지

작품 촬영을 1억화소 휴대폰 카메라로 해도 될까?

sotheb sotheb

7

0

image.jpg


휴대폰 카메라들 화소가 커지면서 오래 전 부터 자주 듣는 질문중 하나 입니다. 
1억화소 카메라다~ 참 그럴 듯 합니다. 더구나 휴대폰으로 1억화소라니...

작업을 하는 작가들은 작업이 끝난 단계 부터 작품촬영 이라는 과제가 발생 합니다. 
작업이 아무리 좋고 많이 한다 해도 내 작품을 외부에 보여주고 홍보하는 모든 활동은 작품 원본이 아닌 디지털 이미지로 이뤄 집니다. 
작품을 보는 사람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미술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도 전시장에서 작품을 직접 관람하기 전에는 휴대폰이나 모니터 화면으로 작가 작품들 이미지를 보고 생각하고 판단 합니다. 
작품을 미술관이나 갤러리에서 관람한 이후에도 마음에 드는 작가 작품은 계속해서 이미지로 관람하게 됩니다. 

작품을 구매해 소장하는 경우에도 작품 이미지 활용이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작품이 판매 됐다 하더라고 작가와 갤러리는 판매된 작품 이미지를 사용해 작가 홍보 마케팅이 이뤄지고, 작품을 소장한 사람들도 소장 작품을 소개 하거나 소장 작품들 관리를 위해 작품 원본이 아닌 이미지를 사용 합니다. 

세상의 모든 작가들은 자신이 만들어낸 작품이 더 돗보이고 인정 받길 희망 합니다.
그러기 위한 첫 시작이 작품 원본과 최대한 같은 품질을 감상할 수 있는 작품 이미지를 만드는 겁니다.

20여년 전 부터 디지털 이미지 분야에서는 Color Management 기술이 보편화 됐고, 2025년 현재 CMS (Color Management System)기술은 일반인들도 마우스 클릭 만드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켜고 마우스사용만 할 수 있다면 누구라도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생활형 기술이 됐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1억화소 휴대폰 카메라는 작품 원본 질감과 컬러를 촬영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면, 불가능 합니다. 

1억 화소 DSLR 카메라와 1억 화소 휴대폰 카메라로 작품을 촬영했을 때 품질이 같을 수 없는 이유는 해상도(픽셀 수) 외에도 여러 하드웨어적, 광학적 차이와 소프트웨어 처리 방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는 현대 AI 기술로도 극복할 수 없는 물리적 법칙 이기도 합니다.

 

ChatGPT Image 2025년 4월 19일 오후 07_00_52.png


DSLR 풀프레임이나 중형 포맷 카메라는 센서 크기가 훨씬 큽니다. 36x24mm, 44x33mm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들은 빛을 더 많이 포집하고, 픽셀 하나하나가 더 큰 면적을 차지 하므로 더 많은 빛 정보를 받아 들입니다. 

휴대폰 카메라 센서는 매우 작습니다. 1억 화소 센서를 사용하는 휴대폰 카메라도 센서 크기는 9.6x7.2mm에 불과 합니다. 작은 센서는 픽셀 크기가 작아 빛을 적게 받아 들여 화질이 떨어 집니다. 

SOMEONE-20-07_00.jpg

1억화소 DSLR 카메라

 

SOMEONE-20-07_01.jpg

1억 화소 휴대폰 카메라

 

 

위 이미지는 동일한 사진 조명 환경에서 후지 1억 화소 카메라와 1억화소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해 최대한 품질과 컬러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현상한 이미지 입니다. 이 정도 수준도 그나마 양호한 수준 입니다. 현실에서는 이보다 못한 엉망인 작품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컬러 차트를 사용한 CMS 현상 과정을 진행 했기에, 컬러는 어느정도 비슷하게 맞출 수 있었지만, 100% 확대 했을때 이미지 품질은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예로 든 이미지의 경우 이정도 컬러 교정을 하는 것도 60만원대 컬러 차트와 100만원대 컬러 교정용 프로그램, 400만원대 측색기, 600만원대 모니터가 갖춰진 환경에서나 교정이 가능 합니다. 대다수  작가들과 같이 정교한 교정 환경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 이정도 교정은 어렵습니다. 

1억 화소 휴대폰 카메라로 작품 촬영을 할 수 없는 이유는 센서 크기 외에도 렌즈 품질 문제도 있습니다.
큰 센서를 사용하는 전문 카메라들은 고품질 렌즈를 사용해 렌즈 왜곡과 색수차, 플레어를 최소화 합니다. 
그에 반해 휴대폰 카메라 렌즈는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고 단순한 구조의 광학적 한계로 왜곡과 색수차를 피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물리적 한계로 현대 기술로는 극복할 수 없습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휴대폰 카메라는 작은 센서 크기로 적게 포집되는 빛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개 픽셀을 그룹으로 묶어 빛의 포집량을 늘리는 픽셀 비닝을 사용 합니다. 이런 물리적 차이를 보완 하는 기술은 필연적으로 소프트웨어 처리가 필요하게 되고, 소프트웨어 보정을 최소화 해서 원본 데이터가 보존되는 DSLR 카메라와 달리, 휴대폰 카메라는 촬영 모든  처리 과정에 원본 데이터가 아닌 소프트웨어로 보정된 데이터를 사용 합니다. 
그런 소프트웨어 처리 과정은 작품의 질감과 색감을 왜곡 시킵니다.

기본 사진앱은 촬영 모드가 자동인 것도 문제 입니다.
유료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ISO, 노출, 셔터속도, 조리개 모두 자동으로 촬영 됩니다.
노이즈는 증가하고 늘어난 노이즈 처리를 위해 소프트웨어 보정이 더 심하게 작용 됩니다. 
초점 영역이 좁아 평면 회화 중앙부와 주변부 초점 영역이 맞지 않게 됩니다.

 

 

스크린샷 2025-04-19 143327.png

스크린샷 2025-04-19 143319.png

작품 촬영 예 : 아이폰으로 촬영

프로필 촬영 예 : 스튜디오 촬영

 

작품은 아이폰을 사용해 촬영하고, 작가 인물 프로필 촬영은 스튜디오 촬영을 하는 예로, 작가가 공개적으로 노출 시킨 이미지 이지만, 구체적으로 읽히는 것은 꺼려 할 듯 싶어 블러 처리 했습니다.
위 이미지 작품도 작품 이미지는 컬러와 디테일이 뭉게지고 자료 아카이브로써 가치 없는 이미지 입니다. 
위 경우처럼 작품 촬영을 휴대폰으로 하는 작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작가 본인 프로필 촬영은 스튜디오를 방문해 촬영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작가가 중요시 하는 것은 작품이 아니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작품 생산에 비용을 최소화 하고 싶다는 행위로 객관화 할 수 있습니다. 작품 행위화 활동으로 주장하던 작가로써의 진정성은 이런 사진 몇 장으로 무너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입장에서 작가가 노출 시키는 이미지와 텍스트들은 작가 작업 환경, 작업 프로세스, 방향성, 진정성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작가들은 휴대폰 카메라를 활용한 촬영 과정에서 메타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삭제하거나 조작하여 촬영 정보의 진정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촬영 조건, 장비 정보, 색역 데이터와 같은 중요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왜곡하거나 소실시킬 뿐만 아니라, 예술적 의도와 맥락을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를 손상시킵니다. 특히, 회화와 사진 예술의 정점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은 그 자체로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며, 이는 아카이브를 통해 체계적으로 기록되고 보존되어야 할 가치를 훼손 시킵니다. 인위적인 정보 왜곡은 작품의 원본성과 맥락적 무결성을 훼손하여, 장기적으로 아카이브의 신뢰성과 학술적 가치를 저해합니다.
예술 작품의 메타데이터 보존은 단순한 기술적 절차를 넘어, 예술사적 기록의 투명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책임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아카이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작가와 연구자들은 메타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함으로써 예술 작품이 후대에 정확히 전달되고 해석될 수 있도록 기여해야 합니다.

 



결론.
DSLR 카메라는 더 큰 센서, 고품질 렌즈,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 정밀한 컨트롤 덕분에 작품의 디테일, 색감, 질감을 훨씬 더 정확하고 선명하게 포착 합니다. 반면, 휴대폰 카메라는 작은 센서와 과도한 소프트웨어 처리로 인해 디테일 손실, 노이즈 증가, 색 왜곡이 발생해 품질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예술가들은 자신의 창작 과정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비판과 성찰을 반복합니다. 대다수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완전한 만족을 느끼기보다는 항상 부족함을 인지하며 더 나은 결과물을 추구합니다. 이런 자기 초월의 태도가 예술이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속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근본적인 이유 입니다.
일부 작가들이 전문적인 촬영 장비 대신 휴대폰 카메라를 사용하여 작품을 기록하고, 이로 인해 작품의 시각적 품질과 정보의 충실도가 저하된 이미지를 공개하는 것은, 스스로 작품의 부족함을 인정하면서도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자위하는 태도와 다를 바 없습니다. 이는 예술적 진정성과 전문성을 훼손하는 행위로, 작품의 본질적 가치를 왜곡하고 아카이브로서의 장기적 보존 가치를 손상시킵니다.
전문가로서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이 최적의 상태로 기록되고 보존 돼야 한다는 책임감을 가져야 하며, 부정확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이미지의 노출은 예술적 신뢰와 직업적 자부심을 저해하는 부끄러운 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작품의 촬영과 기록 과정에서 전문성을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기술적 선택을 넘어, 예술의 본질과 아카이브의 무결성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윤리적 실천으로 여겨져야 합니다.

신고공유스크랩
0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